책 독후감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 존 리 <책 리뷰 + 내 생각>

톡톡소피 2020. 7. 19. 06:53

 

한국의 메리츠자산운용 존 리 대표가 쓴 책이다. 한달 전, 우연히 보게 된 유투브 비디오에 등장한 존 리 대표의 투자 철학에 공감을 한적이 있다. 그래서 한번쯤은 존 리 대표가 쓴 책을 읽어보고 싶었는데, 기회가 왔다.

주식 시장이 코로나 바이러스 판데믹으로 인해서 영향을 받고 경제 depression이 다가온다는 예언들이 난무하는 요즘, 이런 책을 읽고 투자 철학에 대해서 생각을 할 기회가 있어서 참 좋았다.

나도 대학다닐 시적부터 주식 시장에 관심을 기울고, 사고 팔고 했다. 학교를 졸업하고 일을 하고 있는 요즘에는 더 큰 관심을 들이고 있고, 더많은 사고 팔기를 반복했다. 하나 부끄러운게 있다면, 나는 장기적인 투자 철학 없이 시장의 오르 내림에만 큰 관심이 있었다. 이 책을 읽고 느낀점도 반성할 점도 많았다. 읽으면서 내게 와닿았던 부분을 적어보고 내가 배울점을 적어 보려한다.

  • 회사 입장에서 월급은 비용, 즉 아껴야 할 대상이다. 그래서 직원들에게는 직장을 그만두지 않을 정도의 월급을 주고, 그렇게 아낀 돈으로 자본가의 재산은 증식한다. 월급만으로 부자가 되기 어려운 가장 간단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과 미국에서 자라면서 부모님 세대에게 우리가 줄곧 들어왔던 말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가고 돈잘벌고 안정된 직업을 가지면서 부를 세우라는 조언이였다. 그치만 로버트 키요사키의 책이나 이 책에서 하는 주장중의 하나는, 우리는 직장인으로써의 임금으로만은 큰 부를 얻지 못한다는 말이다. 회사 측에서는 능력있고 수입을 벌어다주는 직장인을 최소 비용에 고용하고 싶어하는 이해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직장인으로써의 임금에만 의지 하면 부의 한계가 있다. 그러기에, 월급에만 의존 하지 않고, 투자를 해야한다는 설득이다.

 

  • 사람이 노동을 통해 벌 수 있는 돈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돈은 잠도 안 자고 피곤한 줄도 모르며 계속해서 일할 수 있다.

정말 와닿는 부분이였다. 나는 약사로 일하고 있고 실제로 내가 풀타임 약사일을 안하는 주말에는 조금더 돈을 벌고 싶으면 다른 병원이나 약국에 나가서 일을 하면 시간당 꽤 짭잘한 돈을 벌수가 있다. 하지만, 내 체력에 한계가 있고 길게 보아 건강을 생각하면 쉬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렇게 무리 할수는 없다. 하지만 내가 주식을 소유하면, 내가 자는 시간에는 세계 건너편에 사는 직원들이 일을 하고 있고, 내가 일어나서 내 일을 하고 있는 시간에도 내가 소유한 회사의 직원들이 나의 주식의 수입성을 위하여 열심히 일하고 있다.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하루이틀 주식을 소유하면 큰 변화는 없을수도 있지만, 주식을 사서 몇년, 10년을 보유하면 그 회사의 이익성 만큼 주식의 가치도 올라갈것이다.

 

  • 책에서 부동산과 주식의 수입성을 비교하는 내용이 있다. 1999년 1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20년 동안 전국의 아파트 가격은 168% 상승했고, 서울의 아파트는 이보다 더 높은 252%를 기록했다. 정말 어마어마한 상승이다. 부동산의 수입성 자체도 어마어마 하지만, 주식 시장의 수입성을 더 놀랄만하다. 코스피 지수는... 568.5% 상승했고....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3,354%가 올랐다.

존 리 대표는 일본의 예를 든다. 한국도 다를바가 없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부동산에 대한 거의 절대적인 믿음이 있다. 특히나 서울 경기 지역의 재개발 아파트나 부동산엔 엄청난 관심들이 쏠려있다. 그리고 지난 몇십년간 어마어마한 부를 많은 사람들에게 안겼다. 그치만 주식의 수입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특히나 한국사람들 사이에선 주식을 하면 도박에 지나치지 않고 돈을 날리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좀 있다. 미국은 아무래도 주식을 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편이지만 미국에서도 되게 conservative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더 liquidate 하기도 어려운 부동산을 절대적으로 믿는것 보다는, 더 작게 투자할수 있고 수입성도 있는 주식을 고려해 볼수있으면 좋을것같다.

 

  • 장기적으로 주식투자의 수익률이 상승할 수 있는 이유는 이렇듯 부동산 투자엔 없는 확장성 때문이다.

Interesting한 포인트 중의 하나인데, 주식은 회사에 투자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사의 서비스나 물품에 수요가 뛰면 수익도 올라갈수 있다는 것이다. 비교적 부동산은 빌딩이나 아파트를 제개발 하거나 다시 짓는것이 아니면 약간의 확장 혹은 레노베이션 이외에는 그 지역의 땅값이 뛸 이유가 크게 있지 않는 이상 크게 수익이 확장할 이유가 limited하다

 

  •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밤낮으로 일한다. 그 이윤을 함꼐 나누려면 주식을 하루라도 먼저 매입해야하고 하루라도 오래 주식을 소유해야 한다.

투자의 철학이 없고 주식을 무조건 싸게 사서 오르자마자 팔던 내가 모르던 철학이 이게 아니였을까 싶다. 많은 투자자 들의 책을 읽으면 강조하는게 있는데, 주식 투자는 그냥 운동화나 물건을 resell하듯이 사고팔고 하는게 아니다. 한 회사의 가치에 그리고 미래의 수익성에 투자를 하는것이고 그 회사의 part owner가 되는 것이다. 작은 주식 share를 소유하고 있더라도, 그 소유하는 share만큼 매 분기마다 dividend도 나에게 떨어지는 이유가, 내가 주인이기 때문이다. 그런 이익을 극대화 하려면 하루라도 먼저 일찍 주식을 소유해야하고 오래 소유하고 있어야한다. 그리고 그 회사의 직원들이 밤낮으로 열심히 일하기 때문에, 회사가 수익을 내고 내 소유 share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다. 

 

  • 주식은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모으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투자가 매수와 매도의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라고 오해한다.

2018년부터 2019년 혹은 2020년도에는 큰 Great Depression 이 온다는 예언들이 가득했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2020년 3월달에 잠시 V자 반동이 있었던 점을 빼고는 마켓은 crash하지 않았다.  내 주변에는 주식을 작년이후로 많이들 정리 했는데 (나도 그렇고), 실제로 주식 시장의 타이밍은 아무도 모른다. 언제 내리고 오를지 예상은 할수 있지만 맞추는것은 어렵다. 많은 책에서도 다뤘지만, 주가의 오르내림은 많은 세계의 문제들과 사건들 그리고 많은 예측할수 없는 변화에게서 영향 받는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가 폭락후 반등은 급격하게 일어난다고 했다. 그러니 딱 폭락 순간을 가디리고 매 순간 주식시장에 관심을 두고 있는게 아닌 이상, 모든 타이밍을 맞추긴 어렵다. 그러니 몇년후 수익성이 보장되는 회사를 골라서 투자한뒤 복리가 일하게 나누는게 이상적이다.

 

  • 책에 하나의 예로 Spencer Haywood라는 미국의 농구 선수가 나이키 후원 제안을 고른 얘기가 나온다. 그는 현금 10만 달러와 나이키 주식의 10%중 하나를 고를수가 있었는데, 현금을 택했다. 그리고 그 선수는 시간이 흐른뒤 이 결정을 후회했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2017년쯤 내가 대학을 졸업할때) 아마존 주식은 700달러 정도 였다. 그때 내가 했던 생각은 몇년 전 (5년 전쯤만해도) 200-300달러때 였던 아마존이 올라도 너무 올랐다고 생각했고, 투자를 하지 않았다. 그 후엔 조바심이 들어 1200불-1700불 대쯤에도 사고 사고팔기를 반복하다 2000불 정도를 넘겼을때 팔았다. 그리고 지금 2020년의 아마존 주식은 3000달러를 넘겼다. 우리는 가끔 길게 보지 못하고, 회사의 확장성을 생각치 못하고 쉽게 사고 팔기를 한다. 그때 그 헤이우드 선수가 지금의 나이키의 규모를 상상이나 할수 있었다면 같은 선택을 했을까? 내가 2017년에 지금의 아마존의 규모를 상상하고 (상상은 해봤다) 실천에 옮겼다면 (주식을 더 사고 보유하고 팔지 않았다면) 지금은 어떨까? 지금의 모습을 내가 알았다면 당연히 2017년도에 모든 여행 자금을 모으고 작은 돈을 모아서 아마존 주식을 한 주라도 더 샀을것이다.

 

  • ...특별한 매도 요인이 없다면 계속해서 투자해야 한다... 경영진이 비도덕적으로 변질되었다거나, 주가가 기업의 실제 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대까지 이유 없이 폭등한다거나, 시대와 기술의 변화로 제품이 소요없어지는 등... 경연진이 어떤 철학과 비전을 가지고 경영하는지, 또 주주들을 위해 얼마나 투명하게 경영하느지가 회사의 장기 성장성에 영향을 미친다.

회사 valuation 하는 분의 유투브를 본적이 있다. 회사의 재무재표를 보고 회사의 실적과 미래 수입을 예상하고, 목표 주가를 project한다. 그리고 그 가격에 도달할때까지 그 주식을 사고 유지한다. 그치만 이런 투자자와 다른 일반 개미 투자자들은 회사의 valuation이나 그 회사의 수입성보다는, 일반적인 가격의 그래프 혹은 흐름에서 무릎에서 사고 어깨에 닿으면 팔려고 한다. 회사의 발이나 무릎에서 사도 그 회사의 미래 가치가 없고 수입성이 없으면 그 회사의 주식을 살 가치가 없다. 떠다돌아다니는 워렌 버펫의 투자 철학중에서 장기 투자를 할 주식이 아니면 짧게라도 소유하지 말라는 말이 이런 철학에서 오는게 아닐까 싶다. 한순간에 사서 한순간에 작은 이익으로 되돌려파는 day trader 투자가들의 생각하는 방향과는 확실히 다른 철학이다. 

 

  •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는 펀드의 회전율 turnover ratio에 관심을 기울 필요가 있다. 펀드 내에서의 연간 총거래금액을 펀드운용금액으로 나눈 수치다... 회전율이 큰 펀드들은 피하는 것이 좋다... 수수료는 저렴한 쪽을 택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토니 로빈스나 다른 투자자들이 쓴 책을 보면 뮤추얼 펀드보다는 인덱스 펀드에 (따로 펀드매니저들의 개입없는) 투자하는것의 장점을 highlight한다. 아무래도 펀드 대표의 책이여서 그런지 펀드를 고르는법에 더 집중하긴 하지만, 다른 투자자들과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내용이 있다면, 수수료가 낮을 수록 좋다는 말이다. 수수료는 아무리 싸보여도, 길게 보면 그 작은 수수료가 더 큰 수익을 낼수있는 seed money 돈이기 때문이다. Turnover rate는 신선한 컨셉이였다. 아무래도 장기적으로 보고 고르는 펀드 매니저들은 더 신중하게 회사에 펀다멜털을 보고 투자하지 않을까? 참고로 찾아본 워랜 버펫이 운영하는 Berkshire Hathaway의 turnover ratio는 2020년 1-3월 세달기준으로 0.08= 8%이였다. 

 

  • 자산의 순자산가치를 증가시키는 가장 빠른 방법은 부채를 갚는 것이기 때문이다.

현금, 예금 등 투자한 돈들을 합친 총자산 - (빼기) 대출 및 신용카드 빛을 합친 총부채 = (는) 순자산을 나타낸다. 물론 순자산이 + (positive number)일수록 좋다. 그리고 그 순자산을 늘리려면, 부채를 먼저 갚는 것이 좋다. 물론 나쁜 부채 좋은 부채가 나뉜다고 한다. 나쁜 부채는 보시를 위한 것이고 좋은 부채는 자산을 늘리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부채는 먼저 갚는 것이 좋은 이유가 다른 책에서도 읽었지만 일반적으로 부채 빛 이자가 저금 이자 보다 높다. 그리고 투자를 더 하기 위한 부채는 많은 투자자들이 금기시한다. 더 서두르게 되고 장기 투자를 못하게 막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투자는 여유자금으로 하라고 많은 책들에서 주장한다. 

 

  • 항상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당장 시작해라... 아이가 태어날 때는 물론 백일잔치나 돌잔치때 받은 축하금, 명절의 세뱃돈, 어른들로부터의 용돈 등 아이들을 위해 주현에서 주는 돈은 생각보다 많다. 이 돈들만 꼬박꼬박 투자해도 아이가 성인이 될 때쯤이면 엄청난 자신이 되어 있을 것이다.

정말 뼈때리는 말이었다. 나는 아직 결혼도 하지 않았고 아이도 없지만, 미래의 가정을 꾸리고 아이들이 태어난다면 이 말을 따를것이라고 내 자신에게 다짐했다. 내가 태어난 년도 1992년 6월의 삼성주가는 만삼천오백원이였다. 머니투데이 article에 의하면, 그때 시절 이건희 삼성 그룹 회장은 하루에 3시간도 제대로 못자고 며칠을 밤낮으로 고민했던적이 있다고 했다. 그렇게 회사의 주식에 투자하면 열심히 그 회사의 임원들과 직원들이 회사의 이익을 올리려고 일을 한다. 어떻게 보면 돈으로 투자하는것은 제일 쉬운게 아닌가? 라는 생각도 든다. 내가 대신 일하지 않아도, 내가 대신 피곤하지 않아도, 이익의 보장성이 있는 회사에 투자를 해두면 그 이익을 내가 나눌수 있다는 기쁨과 비교적 수월함, 그런 생각이 든다. 하여튼, 그때 1992년에 우리 부모님이 나를 위해서 100만원을 투자 했다면, 그 돈은 지금쯤 어마어마한 수익률을 거두었을 것이다. 그것을 우리 부모님은 해주실수 없었지만, 내가 만약 이렇게 투자 책들을 읽어서 financial literacy를 쌓고 내 자녀를 위해 투자를 해줄수 있다면 20년뒤 내 자녀는 사회로 어떤 첫발을 내밀수 있을까? 큰 seed money가 있다면 자기가 정말로 하고 싶은 사업을 할수도 있고, 자기가 하고싶은 일에 집중하고 도전할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 그리고 존리 대표의 다른 책인 "엄마, 주식 사주세요"에 반복적으로 나오는 메세지가 있는데, 그건 아이의 교육비에 엄청난 돈을 쏟기 전에 그 돈을 아이를 위하여 혹은 부모 자신의 노후에 투자하라 라는 메세지이다. 그게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더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내용이다. 미국에 사는 나로썬 궁금해서 찾아보았더니, 여성조선 article에서 발견한 교육부가 발표한 2018년 자료에 의하면, 평균 초중고 월 사교육비는 29만 천원이라고 한다. 물론 기자가 취지한 평균 사교육비는 훨씬 높다. 월평균 90만원대에서 150만원대까지 100만원대를 웃돈다. 어마어마한 돈이다. 참고로, 2017년 10월경 아마존 주식은 한 주당 1000달러정도를 찍었는데 (한국의 120만원 정도가 되려나?) 만약 아이를 한달에 120만원씩 교육을 시켜서 지금 현재 2020년 7월까지 학원을 보냈다면 (총 33개월), 1000불 x 33개월 해서 33,000불 정도의 소비가 계산이 된다. 만약에 그 돈을 그때 2017년도에 있었다고 가정해보고, 그때 2017년 10월에 33,000불 = 1000불 x 33 shares of 아마존 주식에 투자했다면 지금 현재가 2963.55 기준으로 2963.55 달러 x 33 shares = 97,797.15불로 계산이 된다. 거의 여섯자리에 가까운 돈으로 성장해 있다. 물론 그 동안의 dividend도 더하면 더 높은 숫자일 것이다. 하여튼, 한국에 사는 부모들이 (물론 미국과 전 세계에도 이런 부모들은 많을것이다) 엄청난 학원비를 당연한듯이 (남들도 시키니까) 아이들의 미래에 "투자" 한다고 생각하고 소비하고 있다. 다만 그게 어떤 이익으로 성장할지는 관심도 없고 아예 생각조차 못한채 소비하고 있지만, 조금 더 현명한 부모라면 정말로 실질적인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 그 돈을 투자하는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책들이였다. 

 


배운점/느낀점: 지금 시점에서 내가 더 배우고 싶고 익히고 싶던 투자 철학에 대해서 듣고 내 생각을 고칠수 있어서 좋았던 책이였다. 이 책을 읽고 당장 실행으로 옮겼다. 내가 생각할때 미래가 보이는 주식들에 작은 량의 share를 사들였다. 나는 로빈후드 app으로 partial share를 살수 있어서, 워랜 버펫의 Berkshire Hathaway 주식도 조금 더 partially 사들였다. 물론 내가 처음 샀을때보다 올라서 내려가기전에 다시 팔자 라고 했던 나의 짧았던 생각은 고쳐먹었다. 아마 이 외에도 다른 주식들과 ETF들도 홀드하고 지켜볼것같다. 아마존 주식은 사고팔고를 반복하고 2000불을 찍으면 성장이 멈출거라고 생각했던 내 잘못은 받아 들였고, 지금도 지켜보고 있다. 그리고 조금 사들였다. 그리고 계속 사들일것같다. 그리고 다음 나의 스텝은 재무재표를 보면서 더 회사들의 성장 history와 이익 트렌드에 관심을 둘것이다. 요즘은 stay at home technology company stock들이 핫한데, 그런 회사들도 찾아볼것이다. 그리고 함부로 사고팔지 않을것이다.